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역구 253곳 중에서 가장 치열한 격전지만 찾아다니는 더스팟 253, <br><br>오늘은 낙동강 벨트 양산을로 갑니다. <br> <br> 닮은꼴인 두 후보가 맞붙었습니다.<br> <br> 안보겸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제가 있는 이곳, 경남 양산을입니다.<br><br>서울에 한강벨트가 있다면 부산·경남에는 '낙동강벨트'가 있죠. <br> <br>낙동강 벨트 최대 격전지인 이곳에선 두 전직 경남지사가 맞붙습니다.<br> <br>후보들부터 만나보겠습니다.<br> <br>현역은 남해군수, 경남도지사를 지낸 재선, 김두관 민주당 의원. <br> <br>이에 도전장을 낸 후보는 거창군수, 경남도지사를 지낸 3선, 김태호 국민의힘 의원입니다.<br> <br>[김두관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(김태호 의원은) 상임위 출석률, 본회의 출석률, 의정활동 이런 게 거의 꼴찌 평가를 받아서…" <br> <br>[김태호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와서 보니까 (김두관 의원이) 4년 동안 뭘 했는지 족적이 안 보입니다." <br> <br>8년 전 양산이 갑을 분구된 이후, 양산 을은 두 번 연속 민주당 차지였습니다. <br> <br>지난 총선에도 김두관 의원이 3개 동에서 앞서며 승리했지만 대선 때는 6개동 모두 국민의힘 후보가 이겼습니다. <br> <br>지방선거 때도 6개 동 모두 국민의힘이 앞서며 양산시장을 배출했습니다. <br> <br>지금은 퇴근시간인데요,<br> <br>양산에는 부산으로 출퇴근하는 인구가 많지만 아직 양산 동부 지역에 전철역이 없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버스를 타고 이곳 부산 노포역까지 와서 전철로 갈아타고 부산을 오가는데요. <br> <br>김두관 후보는 이 숙원사업을 해소하겠다고 나섰습니다.<br> <br>[한정미 / 경남 양산] <br>"부산에서 아무래도 출퇴근을 해야되는지라 무조건 노포(역)에서 갈아타야 되거든요. 항상 아침 일찍 일어나서 준비하는 게 힘들고." <br> <br>[김두관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제가 그 일에 4년 동안 올인했어요.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역세권 개발을 통해서 웅상이 20만 되는 신도시를 만드는 데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." <br> <br>지난 국회 때 전철 노선을 유치한 만큼, 한 번 더 당선되면 전철역도 세우고 역세권 개발도 하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지난 총선에서도, 대선에서도 보수 후보를 선택했던 이곳, 동면에는 1만여 세대, 3만 6천여 명을 수용할 미니 신도시가 조성 중입니다. <br> <br>젊은 층이 속속 유입하고 있어 기존 보수 지지세가 다소 약해질 거라는 내부 분석에 따라 김태호 후보는 이곳 표심에 각별히 신경쓰고 있습니다. <br><br>[유명길 / 경남 양산] <br>"(사송신도시에) 관공서도 들어와야 하는데 안 들어오고, 그런 자족 시설도 기업체들도 안 들어오니까 저희 같은 자영업자는 힘듭니다." <br> <br>[김태호 / 국민의힘 의원] <br>"서울, 부산으로 가는 양방향 하이패스(IC)도 절대적으로 필요하고.집권여당이기 때문에 현안에 밀려있는 일들이 많잖아요. 결국에 돈이 어디서 나오겠습니까." <br> <br>당이 가라고 해서 온 여당 후보인 만큼 신도시 인프라 구축 예산 문제없다고 김태호 후보는 자신합니다. <br> <br>두 전직 경남지사의 자존심을 건 대결, 지키느냐, 빼앗아 오느냐.<br> <br>치열한 낙동강 혈투가 예상됩니다. <br> <br>격전지, 경남 양산을에서 채널A 뉴스 안보겸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안보겸 기자 abg@ichannela.com